사주명리

무식상(無食傷). 발복하는 사주(여명, 남명 명조제시)

bestku 2022. 5. 31. 03:12

식신, 상관을 식상(食傷)이라 하는데 사주에 식상(食傷)이 없으면 어떤 현상과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식상은 관성(정관, 편관)을 극한다. 식상이 사주원국에 없으면 관성을 제어하는 힘이 없다는 것이다. 만약, 사주원국에서 관성이 강하여 일간(나)을 심하게 剋을 하여 통제하고 있다면 이 형상을 식상이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십신론에서 식상은 관성을 제압하여 어느 정도 격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식신이 旺하여 편관을 제압하면 좋은 쪽으로 化하여 길하기 때문이다. 이것을 식신제살(食神制殺)이라고 한다. 따라서, 사주원국에 식상이 없고 관성만 있다면 官의 극을 받으면서 일간이 그 피해를 어쩔 수 없이 받으면서 칠살편관에 대처할 능력이 전혀 없기 때문에 위기를 대처할 수 없으므로 사주가 불리해지는 것이다.

 

식상은 내가 흥미와 재미가 있어서 행하거나 활동하는 것, 개인적인 욕구를 충족하는 것이고 관성은 사회적인 특, 규범으로써 나를 컨트롤 하는 신이다.

내 사주에 식상이 없으면 사주에 기운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여 답답한 형국이니 관성인 사회적 규범, 틀을 굳이 바꾸지 않고 정해진 대로 그냥 살려고 한다. 언뜻 보면, 무식상이면 남한테 나대지 않고 그냥 착실해 보인다.

 

식상은 화술, 언변 활동력, 식복, 여성 사주에서는 자식운이고 무식상 사주는 기술, 경험을 잣대로 한 노하우가 있지만 무식상은 재물로 잇지 못하여 재득력(財得力)이 약하다.

무식상은 기운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여 기운이 발산하지 못하고 내면적으로 뭉쳐있기 때문에 고지식하여 침묵으로 관성에 맞선다. 순응하면서 그냥 산다.

무식상(無食傷)은 표현력, 화술력, 자기 어필의 부족으로 당연히 이성을 끌어들이고 사귀는 능력도 약하다.

 

비겁을 억제하지 못하면 능력계발 부족으로 나타나서 스트레스를 풀지 못하고 가슴에 쌓아놓고 끙끙거리면서 지내기 때문에 건강에도 좋지 않다.

무식상 여명은 ‘시부모, 남편, 자녀’와 관련하여 시부모, 자식이 없거나, 자식덕이 부족하여 자식과 인연이 약하고 무자식 팔자가 많다. 그래서 즐거운 삶은 즐기지 못한다.

 

또한, 관리, 투자, 변화를 싫어하고 현실에 안주하면서 사는 것을 좋아한다.

무식상 사주는 자신의 행동을 일깨우고 세상 밖으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즉, 자신을 내세우고 어필하고 표현하면서 변화를 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행동에 옮겨 실천하는 것이 어렵다고 생각하여 자신도 모르게 움츠러든다.

 

무식상은 돈 버는 재주가 약하고 경제활동이 활발하지 못하면서 재물과 관련하여 성과,실적이 떨어지기 때문에 재득(財得, 재물 성취)이 어렵다.

기존 틀을 변경하지 못하고 그냥 대충 순응하면서 불만이 다소 있어도 외부로 표출을 못 하고 자기 불만족에 대하여 나서지도 못하고 그냥 참으면서 온순·착실하게 사는 것에 익숙하다.

 

새로운 시작 도전, 노력, 개척을 위한 경제활동력이 약하고 때론, 망설이면서 서툴다.

식상이 강하면 언변력이 화려함, 식복, 글재주, 외모가 준수하고 기술, 스포츠 예능에 재주가 많고 인정이 많으면서 타인과 소통도 잘하고 융통성이 좋다.

 

무식상은 연애를 해도 ‘책임지라는 식’으로 일관하면서 일편단심으로 한번 인연을 끝까지 갖고 가려다가 오히려 상처를 받으면서 고충을 겪는다.

식상생재(食傷生財, 식상이 재물을 生)가 없어서 돈과 인연이 약하다. 따라서, 관인상생(관인상생)은 무식상에게 매우 중요하다.

 

사주원국에 재성은 있는데 식상이 없으면 새로운 일에 대한 시작, 도전이 약하고 또한, 매사 일의 진행방식, 순서가 뒤죽박죽되면서 결과,결실만을 기대하는 형국이 된다. 상기처럼, 무식상사주는 행동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디지털시대에 본인이 배운 지식과 기술로 두뇌를 쓰는 직업이 훨씬 유리하다.

상상력이 풍부하고 공상을 잘하기 때문에 이성을 끌어들이는 자기 자신만의 노하우를 개발하여 활용할 것을 추천한다. 반드시 자신만이 가지고 있는 그 방법은 있다고 사료된다. 예를 들어, 트레이너 두고 몸매를 이성에게 어필할 수 있도록 만든다든지 유머 감각을 조금이라도 후천적으로 익혀서 이성에게 웃음을 선사하여 좋은 인상을 준다든지 등등 노력을 남들보다 많이 해야 하는 것은 감수해야 한다.

 

다음은 무식상 사주가 발복 하는 사주구성이다.

무식상 명조 女命

庚 丙 丁 癸

寅 申 巳 亥

 

己 庚 辛 壬 癸 甲 乙 丙

酉 戌 亥 子 丑 寅 卯 辰

 

병신일주 여명은 비겁에 세력이 있지만 월주에 관살혼잡하여 극을 당하면서 일간이 설하여

사주강약이 중화(보통)사주로서 바람직하다.

여명양간신왕(女命陽干身旺, 양간 병화,경금이 신왕)여장부다운 성격을 갖추고 있다.

또한, 시인성(時印星)으로 초년에는 공부를 잘 안하고 말년에 공부하는 성향을 띤다.

명암관다(明暗官多)하니 주위에 이성과의 접촉이 많은 사주다.

연일지살(年日地殺, 연주.일주에 지살)로 해외출입이 잦고 이사,변화,변동,이동수가 많다.

 

특히, 이 여명 명주는 용신.희신을 잘 써야 하는데 월주에 정사가 통근하여 火비겁이 旺하여일간에 비겁력으로 세력이 강하다.

 

연주에 천간에 정관 계수가 지지 해수와 통근하여 계수천간이 투출(透出, 지지장간에 암장되어 있는 오행이 천간에 노출되어 있는 것)하였지만 계수의 수량은 적고 병화일간이 亥수를 만나면 편관인데 해수는 입동과 대설이 있는 양력11월 초부터 12월 초까지 꽁꽁 언 자수와 같은 얼음은 아니기 때문에 본 명주 입장에서는 다행이다.

따라서 해수 지장간에 있는 임수를 용신으로 삼고 金을 희신으로 써서 일간의 비겁력으로 왕한 火기운을 洩하여 일간 기운에 균형과 조화를 중화(보통)로 유지하는 것을 지속시켜야 바람직하다.

병신 여명 일주는 일지형충 (日支刑沖) 즉, 인신충, 인사신형으로 남편과 충돌이 잦거나 별거한다.

자식덕은 용신유기(用神有氣)로 자식덕이 있다.

그러나 일지형충(時支刑沖) 즉, 인신충, 인사신형으로 자식과 뜻이 맞지 않고 별거한다. 무식상 여명이 자식운이 半吉한 것을 감사하게 생각하고 유학을 일찍 보내서 본인과 떨어져 사는 것이 서로에게 유리하다.

 

사주팔자에 재물복은 평범하지만 병신일주는 대운을 전반적으로 잘 만나서 중년.말년 재물운이 대길하지는 않지만 좋다. 특히, 말년에 남한테 아쉬운 소리 하지 않고 쓸 만큼은 갖고 있는 것을 누구나 감사히 알고 살면서 작은 행복을 느끼면서 사는 삶도 나름대로 가치 있다고 사료된다.

 

무식상 명조 男命

戊 乙 甲 壬

寅 酉 辰 戌

 

壬 辛 庚 己 戊 丁 丙 乙

子 亥 戌 酉 申 未 午 巳

 

을목일주는 재다신약사주이다. 그러나, 사주팔자에 재물복 재다신약 비겁력(財旺身弱 比劫力)으로 재물복이 풍부한 사주다. 왜냐하면, 재다신약하지만, 비겁세력이 旺하다. 즉, 겁재 갑목은 진토 지장간에 乙 목과 통근하여 투출하여 갑목월간이 뿌리가 견실하며 12운성으로 관대에 놓여 에너지가 좋으며 시지에 인목도 지장간에 무토가 암장되어 천간에 무토가 투출하였고 무인시주도 제왕에 놓여서 기운이 세서 비겁력이 강하기 때문에 재다신약하지만 예외적으로 비겁력으로 재물복이 풍부한 사주가 된다.

년주에 천간에 정인 임수는 술토와 통근하지 못하여 뿌리가 견실하지 못하니 壬수이지만 水에 역할이 미약하다. 특히, 12운성으로 묘(墓)에 놓여서 일간인 을목을 생조하는데 미약하다.

 

한편, 을목일간은 재성 토를 剋하면서 심하게 洩을 하면서 일지에 유금이 편관이 되어 일간을 剋하여 설기를 당하기 때문에 용신은 木을 삼아서 일간을 생조 해주고 水를 희신으로 써서 旺한 土기운을 洩하여 을목일간에 균형과 조화를 맞추어야 한다.

 

육친해설을 살펴보면, 명암재다혼잡(明暗財多混雜)으로 남명에게는 재성이 처,여자도 의미하므로 처와 해로하기 어려운 사주다. 용신유기(用神有氣) 즉, 용신이 갑목이 상기 언급처럼, 세력이 있으므로 자식덕이 있는 사주다.

 

사주상 직업은 비겁용(比劫用)으로 봉급생활자 보다는 자영업. 프리렌서가 잘 맞는 사주이다. 왜냐하면, 비겁이 기운이 세기 때문에 자기 주관과 고집이 세고 자기중심적이면서 경쟁심과 승부욕이 강한 사주이므로 남 밑에서 일하는 것을 꺼리고 이런 사주가 직장생활을 하면 주변인과 불화.다툼이 잦아서 명주에게도 불리한 사주이기 때문이다.

사주상 재물복은 상기 언급처럼, 풍부하지만 대운을 만나면서 재물에 흐름을 살펴보면,

丁未,戊申,己酉 중년 재물운이 어렵고 가난하지만 특히, 2022년에 들어오는 기유대운이 불리하고 사주원국에 년주,월주에 있는 '백호살'로 큰 좌절을 맛볼 수 있지만 버티면서 극복하면 辛亥,壬子, 대운을 51세부터 만나면서 20년 동안 말년 재물운이 좋기 때문에 사주상 재물복과 대운상 재물복을 총체적으로 보면 재물운이 좋은 사주가 된다.

 

무식상 사주풀이 영상을 시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