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일간 격국과 형충파해.용신.희신
격국은 사주원국의 구조를 보고 사주에서 격식과 방국을 판단하는 것이다. 즉, 사주원국에서 일간을 중심으로 어느 오행이 세력이 강하여 사주팔자의 주도권을 잡고 있는 것을 찾는다. 사주의 격국은 오행(五行)의 세력다툼과 주도권 경쟁이다. 우주의 질서는 약자는 강자에게 굴복하게 되어 있다. 반면에 대운에서 세력이 약한 오행을 돕는 운이 오면 약한 오행은 화하여 강한 세력을 갖춘 오행과 세력다툼을 통해서 주도권을 가져오기도 한다. 세상만사와 비슷하다고 보면 맞을 것이다.
(1) 정관격(正官格)
정관격이 인수격을 겸하면 관인격(官印格)이라고 하고, 정관격이 인수가 사주팔자에 용신이 되면 정관패인(正官佩印)이라고 하며, 정관격이 재격을 겸하면 재관격(財官格)이라고 한다.
정관은 반드시 사주에 나타나야 한다. 지장간에 암장되어 숨어 있는 것은 귀하지 못하다.
정관이 월령(월지에 오행이 계절 말기를 관장한다는 뜻) 이거나 정관의 세력의 힘이 있으면 입신출세하는 사주이다. 그러나 식상이 강하여 관성이 제극(제압하여 극하는 것)을 심하게 받으면 소인배 사주이다. 이 때는 사주원국에 인수(인성)이 있어 식상을 제압해야 한다.
정관은 형충을 크게 꺼리고 상관도 꺼리며 관살혼잡을 꺼린다. 정관도 많으면 칠살과 같다. 정관은 하나만 있어야 귀하다. 정관이 지지장간에 암장되어 있으면 칠살 편관은 없거나 약해야 한다. 만약 정관은 지지장간에 암장되어 있는데 칠살 편관이 사주에 있거나 천간에 투출(투간, 지지장간에 오행이 천간에 노출 되어 있는 것) 하였으면 파격(破格, 사주에서 일정한 유리한 형상을 파하는 神이 있거나 이미 파하여 있는 것) 된다.
정관이 형충파해되면 매사 성공하기 어렵다. 신약하면 정관도 칠살과 같고 신왕하면 칠살도 정관과 같다.
★형충파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刑의 3가지 종류와 특징
⓵삼형(三刑)은 인사신형, 축술미형
⓶상형(相刑)은 상호간 형을 가하는 자묘형(子卯刑)
성질이 횡폭하고 화애한 기분은 조금도 없으며 예의를 무시하고 불쾌감을 주는 관계
⓷자형(自刑)은 대개 자주독립의 정신이 박약하고 열정이 없고 시종일관하지를 못하다.
-辰辰형, 午午형, 酉酉형, 亥亥형.
※상기한 세 가지 형 중 삼형이 가장 세고 상형과 자형은 덜 센 성향이 있다.
①사주원국에 인사신 삼형중 하나가 빠진 인사형, 인신형, 사신형이 구성되어 있는데 대운.세운에서 삼형을 완성하거나 또는 같은 글자를 만나는 경우에는 여러 가지 형을 받을 수 있고 사주구조에 따라 반대로 가하기도 한다.
②인사신형, 축술미형 삼형살이 오는 대운을 잘 극복하기 위해서는 명주의 전반적인 생활, 업무스타일, 생활, 업무 습관을 꼼꼼히 살펴서 불리한 것들을 개선하는 것이 필수이다.
③상기에서 설명한 형(刑)과 다음에 설명할 충은 고통뿐만 아니라 경쟁력으로 맞이할 수 있기 때문에 대비를 잘해야 한다.
★충(沖)★
충은 보통은 서로 잘 안 맞고 미워하는 관계라서 "부서지고 깨지는 부정적인 변화"만 일어나는 것은 아니고 사주의 구성에 따라 오히려 "서로 자극이 되고 좋은 변화"를 가져올 때도 있다.
⓵자오충, 묘유충, 진술충, 축미충, 사해충, 인신충
★파(破)★
지지 상파(相破)로서 사주가 성격에 이루지 못한 것, 즉 파격(破格)한 것이다. 희신(일간의 용신을 생하는 神)이나 용신(일간을 생하는 神)이 칠살 또는 형충하여 극을 받고 있을 때 파(破)한다고 한다.
1)파(破)는 삼합을 통하여 이해하면 그 개념의 이해가 쉽다.
⓵인오술 火국
⓶해묘미 木국
③寅-亥, 午-卯, 戌-未 조합이 파이다. 두 삼합의 생지(生地), 왕지(旺地), 사지(死地) 끼리가 사주의 파이다
④여기서 木국은 화국을 生한다. 생의 관계이니 같은 편으로 보인다. 그래서 의기투합이나 분명한 것은 국이 다르다.
⑤여기서 국(局)은 그룹이니 아무리 비슷하여도 문제가 발생하면 그룹별로 갈라지게 된다.
⑥인해파는 합(合)이자 파(破)이다. 즉, 이 경우 합과 파가 동시에 나타난다. 동시에 움직임이 강한 역마성의 파가 나타난다. 우선, 합이 먼저 나타나고, 그 후 분열의 모습이 나타나는 성향이 있다.
⑦오묘파는 왕지에 있으므로 남녀관계에서 파가 나타난다.
⑧술미파는 사지의 파로 화개적 성향의 파가 나타난다. 정서적 심리적인 측면에서 파가 작동한다.
⑨‘내편인 듯 내편 아닌 내편으로 사소한 차이’에도 그룹의 이익을 위하여 나누어진다.
★육해(害)★
지지로서 대치하며 투쟁하는 성향으로 은혜를 원수로 갚으면서 피해를 입히고 서로 다치게 하는 관계
⓵자미↔쥐, 양, ⓶축오↔소, 말, ⓷인사↔호랑이, 뱀, ⓸신해↔원숭이띠, 돼지띠, ⓹묘진↔토끼, 용, ⑥유술↔닭, 개
일반적으로 정관은 신왕하고 인수(인성)가 있으면 발복한다. 사주에 정관이 있는데 상관운이 되면 불길하다. 인수와 관성이 왕성한 운이 와야 발복하고 본인 뜻대로 일을 성취한다.
★정관격이 좋아하는 것
1. 신왕 2. 재왕생관(財旺生官, 재성의 세력이 강하여 관성을 생하는 것)
2. 무칠살양인(無七殺羊刃, 편관양인(=칠살양인 즉, 편관과 양날 검이 없는 것)
★정관격이 꺼리는 것
1. 신약 2. 형충파해 3. 관살혼잡 4. 상관,양인(陽刃, 일간이 월지 또는 일지가 갑목-묘, 병화-오, 무토-오, 경금-유, 임수-자수를 만났을 때)
정관격 사주 용신.희신
戊 戊 己 乙
午 辰 卯 巳
무토일간이 진토 지장간에 통근하여 일간이 신강한 사주다. 또한, 시지에 오화도 지장간에 기토가 암장되어 통근하여 무토에 세력이 강한 일주이다. 월지에 묘목이 지장간에 정관 을목이 암장되어 통근하였으므로 정관격이 된다.
상기 사주는 묘목이 정관이 용신을 삼아 土 기운을 극하여 일간의 기운 설하여 균형을 맞추고 진토 지장간에 계수를 희신으로 써서 水를 희신으로 써서 용신인 木기운을 보충해주어야 한다.